728x90
728x90
SMALL
철분이란??
철분제는 철 결핍에 의한 빈혈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약물이다.
철분제에는 제1철 제제와 제2철 제제가 있다.
제1철은 제2철보다 흡수율이 높지만 부작용으로 위장장애와 변비를 일으킬 수 있다.
함께 투여할 경우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음식과 약물이 있으므로 확인하여 함께 투여하지 않도록 한다.
빈혈
빈혈이란 혈액에서 적혈구 크기나 수가 비정상적이거나, 산소와 영양소를 운반하는 혈색소(헤모글로빈*)의 양이 감소된 상태를 말한다.
혈액의 세포 성분인 혈구는 골수에 있는 조혈모세포(조혈줄기세포)로부터 각각 형성된다.
적혈구는 혈액의 구성 성분으로서, 조직세포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빈혈이 생겨도 초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빈혈이 지속되면 어지러움, 피로감, 쇠약감, 창백한 피부, 조금만 운동해도 가슴이 뛰고 숨가쁨, 손톱의 변형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빈혈의 발생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철분 결핍에 의한 빈혈로서 이를 철 결핍성 빈혈이라고 한다.
불충분한 식사 등으로 철분의 섭취가 부족하게 되면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된다. 또한 소화관 출혈과 월경 과다 등 만성 출혈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고, 청소년기나 임신기에 철분 필요량이 증가되어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될 수 있다.
* 헤모글로빈(hemoglobin): 혈액 내의 적혈구에서 철을 포함하고 있는 붉은 색의 단백질로 산소의 운반을 담당한다.
약리작용
철분제는 철 결핍에 의한 빈혈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약물이다.
철분은 적혈구 내의 산소를 폐에서 조직으로 운반하는 데에 필요한 헤모글로빈의 구성성분이다.
식이로 섭취한 철분은 소장 상부에서 흡수된다.
제2철(3가철)은 위산에 의해 분해되어 제1철(2가철)의 형태로 소장 점막세포 내로 이동한다.
일부는 소장점막에서 저장형태인 페리친 철로 저장되고, 나머지는 혈액으로 빠져나와 이동형태인 트랜스페린 철이 되어서 골수, 간과 같은 인체 각 조직으로 이동하여 헤모글로빈 합성에 사용된다.
종류
철분제에는 제1철 제제와 제2철 제제가 있다.
제1철
2가철이라고도 하며, 무기염과 유기착화합물로 구분된다.
제1철(2가철)은 제2철(3가철)보다 흡수율이 높지만 부작용으로 위장장애와 변비를 일으킬 수 있다.
심한 빈혈인 경우 무기염 제제가 효과적이다.
무기염인 황산제일철은 소장에서 흡수가 빠르고, 흡수량도 많지만, 부작용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유기착화합물은 무기염 보다는 적지만, 여전히 부작용이 빈번히 나타난다.
푸마르산제일철, 글루콘산제일철, 아미노초산황산제일철은 복합제에 복합되어 있다.
제2철
3가철이라고도 하며, 유기착화합물, 단백질결합철, 페리친으로 구분된다.
제2철(3가철)은 제1철(2가철)에 비해 위장장애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제1철(2가철)보다는 흡수가 잘 되지 않는다.
유기착화합물과 단백질결합철은 흡수속도가 제1철(2가철)보다 빠르지 않으나 위장장애가 거의 없는 편이다.
유기착화합물인 수크로오스수산화제이철착염과 철덱스트란착염은 주사제로서 의사의 처방에 의해 사용되는 전문의약품이다.
단백질결합철의 경우 철분의 함량이 적은 편이다.
단백질결합철인 철만니톨난단백은 복합제로 사용된다.
저장철 형태의 천연철분제제인 페리친은 위장관 자극은 적으나 다른 제제에 비해서 흡수율이 낮다.
효능∙효과
철결핍성 빈혈을 예방하거나 치료한다.
용법
철의 흡수를 높이기 위해서 식전 1시간이나 식후 2시간의 공복에 복용하도록 하며,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이나 주스를 함께 복용하면 철분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철의 흡수를 방해하는 녹차, 홍차 등 탄닌을 함유한 차, 유제품과 함께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제산제와 병용투여할 경우 최소 2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복용하도록 한다.
부작용
철분제 투여 시 위부불쾌감, 복부ㆍ위통증, 위 경련,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 변비, 흑변, 두드러기, 가려움, 햇빛 노출시 피부 과민반응, 열, 혼수, 치아 변색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외 상세한 정보는 제품설명서 또는 제품별 허가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작용이 발생하면 의사, 약사 등 전문가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주의사항
• 12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투여해서는 안되며, 6세 이하의 소아가 과량 복용시 중독으로 사망할 수 있으므로 소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소아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반드시 보호자가 지도, 감독 하에 투여하도록 한다.
• 혈색소증*, 헤모시데린침착증† 환자에게 투여해서는 안된다.
또한 비타민 B12 결핍으로 인한 거대적아구성 빈혈‡ 등 철결핍이 원인이 아닌 빈혈 환자에게 투여하지 않도록 한다.
• 만성췌장염 환자, 간경변 환자에게 투여해서는 안된다.
• 위장질환(소화성궤양, 만성궤양성 대장염, 국한성 대장염 등)이 있는 환자, 순환기계 기능 장애 환자, 신장애 환자, 저단백혈증 환자가 복용하려는 경우 복용하기 전 의사, 약사와 상의하도록 한다.
• 빈혈이 의심되는 경우 철분제를 복용하기 보다는 우선 빈혈의 유형과 그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혈액 손실, 만성질환 등 다른 원인에 의한 빈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러한 원인들을 먼저 치료해야 한다.
• 투여 중에는 혈액검사를 실시하고, 과량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1개월 정도 복용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거나 악화될 경우에는 의사나 약사와 상의하도록 한다.
• 비타민 C 200 mg 이상과 함께 복용하는 경우 철분의 흡수가 증가 될 수 있다.
또한 만성적으로 알콜을 오남용하는 경우 철분의 재흡수가 증가되어, 철분 과다를 일으킬 수 있다.
• 철분제 복용 시 금 화합물 또는 음식물을 통해 공급되는 인의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 혈색소증: 철 대사의 이상으로 철이 간장, 췌장에 쌓이는 질환
† 헤모시데린 침착증: 헤모시데린은 철분을 함유하는 단백질로서, 철분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조직 장애는 일으키지 않으나 국소적 또는 전신적으로 헤모시데린이 증가한 상태를 헤모시데린 침착증이라 한다.
‡ 거대적아구성 빈혈(megaloblastic anemia): 비타민 B12 결핍이나 엽산 결핍 등의 원인으로 적혈구 세포 내에 DNA 합성장애가 발생하여, 적혈구가 정상적으로 성숙하지 못하여 생기는 빈혈이다. 골수에서 거대한 적혈모구가 발견된다.
상호작용
철분제와 함께 투여 시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은 다음과 같다.
상호작용
약물
철분제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약물
칼슘제, 제산제, 위산억제제(라니티딘, 오메프라졸 등), 일부 항생제(테트라사이클린 등), 해독제(페니실라민) 등
철분제에 의해 부작용이 증가되는 약물
칼륨저류이뇨제(스피로노락톤, 트리암테렌) 등
철분제에 의해 효과가 감소되는 약물
인산염, 일부 항생제(세프디니르, 테트라사이클린, 시프로플록사신 등), 골다공증약(파미드로네이트 등), 갑상선호르몬제(레보티록신), 파킨슨 치료제(레보도파), 헤독제(페니실라민) 등
728x90
SMALL
근거등급
A : 확실한 과학적 근거
B : 믿을만한 과학적 근거
C : 불명확하거나 이론의 여지가 있는 과학적 근거
D : 일반적으로 타당성 있게 부정적인 과학적 근거
F : 강하게 매우 부정적인 과학적 근거
A
만성 질병성 빈혈
경구로 에포에틴 알파(에리스로포이에틴, EPO, Epogen®, Procrit®)와 함께 철분을 섭취하는 것은 만성 치열 및 화학요법과 관련된 빈혈 치료에 효과적이다.
철분 결핍성 빈혈
황산철(Feratab®, Fer-Iron®, Slow-FE®)은 철분 결핍성 빈혈을 위한 표준 치료법이다. 의사는 경구 철분 요법이 실패할 경우, 골수 내 적절한 철분 수치 유지를 위해 덱스트란-철분(INFeD®)을 정맥 주사한다.
B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연관 기침
경구로 철분을 섭취하는 것은 캅토프릴(Capoten®), 에날라프릴(Vasotec®), 그리고 리시노프릴(Prinivil®, Zestril®)과 같은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 억제제와 관련된 기침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월경 중인 여성의 철 결핍 예방
철분 섭취는 월경 중 여성의 철분 상태를 개선하는 것으로 보인다.
임신 중 철 결핍 빈혈 예방
철분 섭취는 임신 여성의 철분 결핍성 빈혈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임신 여성의 빈혈은 저체중 출산, 조산, 산모 사망과 같은 이상 반응과 관련이 있다. 의료 전문가의 검진이 필요하다.
낮은 용량은 일반적으로 내약성이 좋으며 순응도가 높다.
C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질환
예비적 자료에 따르면, 경구 철분 섭취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질환(ADHD)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호흡 문제(호흡 중지 발작)
제한적 근거는 철분 섭취가 아동의 호흡 중지 발작의 빈도와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제시한다.
피로(페리틴 수치가 낮은 여성)
황산제일철은 주로 페리틴 농도가 낮거나 경계선에 있는 여성에서 피로를 개선할 수 있다.
성장
아동 성장에 철분 섭취가 미치는 효능에 관한 복합적인 근거가 존재한다.
철 결핍과 연관된 인지수행 개선
경구 철분 섭취는 철 결핍 아동 및 청소년의 철 결핍과 연관된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 관한 철분의 잠재적인 효능을 확증하기 위해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철분 결핍이 아닌 사람에게서 인지 능력 개선을 위한 철분 섭취는 권고되지 않는다.
감염
현재, 아동의 감염 예방에 철분 사용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부족하다.
납 독성
철분 결핍은 아동의 납 중독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납 중독에 철분 보충제를 사용하는 것은 실제로 철분이 결핍되었거나 납에 노출된 거주지에서 거주하는 것 같이 지속적으로 납에 노출되는 사람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정신 기능(유아 및 소아 발달)
아동 발달에 미치는 철분의 효능에 관한 과학적 근거는 상충된다. 일부 자료는 철분 섭취가 주로 정신 운동의 발달을 촉진시킨다고 하는 반면, 다른 것들은 지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고 있다.
능력 향상(소아)
제한적 근거는 철분 섭취가 아동의 신체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임신 보조
임신 중 영양 보충으로 철분 섭취가 연구되었다. 제한적 근거는 엽산 보충제와 병용하거나 복합 미량 영양소 배합의 일부로 철분을 태아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제시한다. 임신을 돕는 데 있어 철분의 구체적인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운동하는 여성의 철 결핍 예방
예비 연구는 철분 섭취가 운동 후 경미한 빈혈을 되돌리고, 기력을 개선하며, 수행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그러나, 다른 연구들의 결과는 또 그렇지 않다.
헌혈 후 철 결핍 예방
초기 연구 결과는 철분이 각각 1년에 4~6회 전혈 헌혈을 하는 여성과 남성의 철분 소실을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위장관 출혈로 인한 철 결핍 빈혈 예방
위장관 출혈로 인한 철분 결핍 빈혈 환자에게 정맥을 통한 고용량 철 수크로스 요법은 안전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시간을 절약하고 환자 순응도를 개선할 수 있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정형외과 수술 후 빈혈 치료
초기 연구는 비응급 고관절 또는 무릎 치환술 후에 철분을 섭취하는 것이 위약에 비해 수술 후 헤모글로빈 수치 및 헤모글로빈 증가 속도를 향상시키지 않는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최근 근거는 철분을 사용한 수술 전 빈혈 치료가 에리스로포이에틴의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수혈의 필요성을 감소시켰으며, 개선된 환자 결과에 기여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투석 전 빈혈의 치료
투석 전 빈혈의 치료에 있어 적절한 철분 섭취는 에리스로포이에틴과 함께 보조 요법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 투석 전 빈혈은 의료 전문가가 치료해야 한다.
철분이 많은 음식
노른자, 깻잎 , 굴, 해조류, 견과류
이번에는
철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철분의 효과로 빈혈에 좋다는 것은 대부분 아실 겁니다
확실히 A등급 근거의 과학적 증명이 되어 있습니다
철분제를 드신다면
칼슘제를 드신다면 시간 격차를 두고 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약효를 감소시켜 먹는게 무용지물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항상 자연식으로 섭취를 먼저 해보시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오늘 식단에는 철분을 위한 자연식단을 드셔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
글을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건강하세요
원문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철분 [Iron]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약물근거등급)
[네이버 지식백과] 철분제 (약학용어사전)
728x90
728x90
LIST
'건강영양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차의 효능과 부작용 카페인함량과 카테킨이란 (0) | 2022.11.14 |
---|---|
타우린의 효능과 부작용 무엇일까?! 타우린 많은 음식 권장량 의외의 효능 (0) | 2022.11.14 |
아르기닌의 효능 그리고 부작용 섭취 주의사항과 풍부한 음식 근거등급까지 (0) | 2022.11.13 |
유칼립투스 오일 효능과 부작용 먹어야할까?! (0) | 2022.11.13 |
홍차의 효능 및 부작용 홍차와 블랙티 차이점 (0) | 2022.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