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 (立春)
분야 및 날짜:
분야: 절기
계절: 봄 (음력 1월)
날짜: 양력 2월 4일경
시절음식 및 관련풍속:
시절음식: 오신반(五辛盤), 세생채(細生菜), 명태순대(明太)
관련풍속: 입춘축(立春祝), 연상시(延祥詩), 입춘하례(立春賀禮), 입춘굿(立春-)
정의:
24절기 중 첫 번째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위치.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일 때로 봄이 시작된다.
내용:
입춘은 농경의례와 행사가 많이 열리는데, 가정에서는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이는 행사가 일반적이다.
축을 쓰는 종이는 대개 가로 15센티미터, 세로 70센티미터의 한지로 사용되며, 정해진 대구(對句), 대련(對聯), 단첩(單帖)에 따라 다양한 내용이 작성된다.
옛날 풍속과 의례:
예로부터 궁중에서는 초계문신과 시종신에게 춘첩자(春帖子)를 만들어 올리는 풍속이 있었다.
지방에서는 입춘날에 토우를 만들어 문 밖에 내놓아 겨울의 추운 기운을 보내는 행사가 있었으며, 목우라 불리는 나무로 만든 소를 끌어다니는 놀이도 있었다.
제주도에서는 굿놀이가 행해지며, 풍요와 안전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있었다.
점복과 의미:
입춘축을 붙이면 좋다는 믿음이 있고, 보리뿌리점을 통해 올해의 농사 풍흉을 점치는 풍속도 존재한다.
입춘의 날씨와 관련하여 입춘치라는 표현이 나오며, 날씨에 따라 향후 농사 기운을 예상하는 믿음이 있다.
입춘날에는 주의가 필요한데, 집 밖으로 내놓은 물건이 그해 내내 재물이 나가게 만드는 믿음이 있다.
절식과 관련 의례:
궁중에서는 오신반을 수라상에 얹어 행사를 베풀었고, 민가에서는 세생채를 만들어 봄의 맛을 즐기기도 했다.
지역에 따라 입춘날에 특별한 음식을 먹는 관습이 있었으며, 궁중의 경우엔 겨울에 부족한 채소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오신반을 즐겼다.
구비전승:
입춘에 따른 날씨 변화에 관련된 속담과 믿음이 있으며, 추위가 강할 때는 입춘에 김칫독이 깨진다는 속담이 전해진다.
의의:
입춘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 절기로, 새해의 상징적인 날로 여겨진다.
과거에는 다양한 의례와 풍속이 연결돼 농사 풍년과 안전을 기원하는 자리로 활용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입춘 [立春] (한국세시풍속사전)
https://link.coupang.com/a/bpyJh3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생활 지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렌타인데이란 발렌타인데이 유래 발렌타인데이의 정의 2월 14일 (0) | 2024.02.14 |
---|---|
스캠코인이란? 스캠코인 뜻 스캠 ? 무엇이 문제인가? (0) | 2024.02.12 |
홍역 원인과 증상 예방 방법까지 알아보자 (0) | 2024.02.03 |
단백질보충제 유청단백질의 종류 ? WPC WPI ?차이점을 알아보자 (1) | 2024.01.09 |
염화칼슘이란 ? 겨울철 바닥에 뿌려진 소금? (1)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