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회복에 도움이 되는 음식
음식은 몸을 보호하고 생명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다. 특히 간은 음식으로 섭취된 영양분이 통과하는 첫 관문으로 좋은 음식을 바르게 먹는 습관이 필요하다.
간에 좋은 음식을 찾아보면 다양한 정보가 쏟아진다. 인터넷에서는 산낙지, 청국장, 다슬기, 부추, 당근, 마늘, 블루베리, 호두를 비롯해 구기자, 헛개나무 등 건강기능식품이 간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내용을 쉽게 접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장기를 위해 과도하게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오히려 다른 장기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간에 좋은 음식을 먹기 전에 개인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다른 질환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무엇보다 영양분이 어느 한가지로 치우치지 않게 골고루 균형 잡힌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물 대부분은 간에서 대사되기 때문에 절제된 식습관이 중요하다.
모든 음식물은 간에서 대사돼 우리 몸에서 필요한 에너지로 전환되는데 간이 나쁘면 에너지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거나 간에서 다 써버려 쉽게 피곤해진다. 이때는 단순당이나 지방이 아닌 현미, 잡곡, 통밀, 율무, 팥, 수수, 보리 등의 곡류가 좋다. 단 비만이나 고지혈증 환자는 고열량음식으로 인한 지방간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 섬유소가 많은 음식, 채소, 과일, 곡물을 많이 먹고 튀기거나 기름진 음식을 줄이며 싱겁게 먹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기름에 튀긴 음식보다는 삶은 음식이 좋고 당분이 들어간 음료수보다는 물이나 녹차 종류를 마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탕, 꿀, 초콜렛, 라면, 도넛, 케이크, 삼겹살, 갈비, 닭껍질, 햄, 치즈, 땅콩, 콜라, 사이다 등 열량이 높은 음식의 과도한 섭취를 삼가야 한다.
세상에 대비하는 방법 :: 녹차의 효능과 부작용 카페인함량과 카테킨이란 (tistory.com)
단백질 보충은 간세포 재생을 돕는다. 생선, 콩, 두부, 기름기를 제거한 살코기, 달걀, 우유가 좋고 가능하면 식물성 단백질이 좋다. 하지만 간경화가 있는 경우 간성혼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 섭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비타민과 무기질이 함유된 녹황색채소는 간 대사를 촉진하고 항산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커피가 간에 좋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1992년 클라스키 박사가 처음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커피가 간경화 발생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지난 20여년간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계속 보고돼왔다.
커피 안에는 카페인 외에 탄수화물, 지방, 미네랄, 단백질 등 100가지 이상의 성분이 들어 있는데 전문가들은 이 성분들이 서로 작용해 간을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지나친 카페인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카페인 하루권장량인 300mg을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원두커피 한잔에는 약 115~175mg, 인스턴트커피 한잔에는 60mg 정도의 카페인이 함유돼 있다. 따라서 안전한 커피섭취량은 하루 원두커피 3잔, 인스턴트커피 5잔 이내라고 생각하면 된다.
특히 지방간이 우려되는 사람이라면 식습관을 통한 체중조절은 필수다. 단 무리한 체중조절로 몸에 필요한 비타민이나 미네랄 성분, 영양분이 부족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일주일에 1kg 이상 급격한 체중감소는 오히려 심각한 지방간염을 유발하고 간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신체기관과 마찬가지로 적당한 운동은 건강한 간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자신의 식습관을 객관적으로 알기 위해서는 매일 체중을 재고 섭취한 음식을 기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식사를 할 때는 끼니를 거르지 말고 세끼를 챙겨 먹되 한 끼 분량을 조금씩 줄이는 것이 좋다. 음식을 천천히 먹고 눈앞에 간식거리가 보이지 않도록 치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배고픈 상태에서 외식을 하면 과식하기 쉽게 때문에 외식 전 약간 배를 채우고 가는 것도 좋다. 물론 과식이나 야식을 피해야 한다. 만약 과식을 했다면 평소보다 운동량을 늘려 에너지를 더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혹 간암 환자들 중에서는 특정 음식이 간암에 효과적이라고 하면 그 음식에만 매달리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식이요법만으로 간암을 완치할 수 없다. 소화에 지장이 없는 한 모든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복수가 있거나 간성혼수가 있는 환자는 염분이나 단백질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해 결정해야 한다.
녹차의 효능과 부작용 카페인함량과 카테킨이란
녹차란?? 녹차 그린푸드(green food)'로 지칭되는 녹색 음식을 먹으면 몸과 마음이 편안해진다. 녹색 음식은 시각적인 긴장은 물론이고 신경과 근육의 긴장까지도 완화시켜 준다. 녹차(綠茶, green tea
rawlaw.tistory.com
01. 충분히 쉬어도 피
곤이 가시지 않습니다.
만성피로는 간의 대표적인 기능인 에너지 생성이 안될 때 나타납니다.
우리가 음식을 먹는다고 바로 에너지로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인체는 그렇게 단순하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입으로 들어간 음식은 위장에서 소화되고 반드시 간으로 들어와야 합니다.
이때 흡수한 음식을 간에서 에너지가 잘 만들어지게 변화시키는데 ..
(예를 들면 쌀밥을 간에서 포도당으로 바꿉니다.)
이 역할이 마비되면 에너지생성이 안됨 - 만성피로 순으로 진행하죠!!
02. 배에 가스가 차고 소화가 안됩니다.
속이 더부룩하고 불편하면 무조건 위장이 안좋다고 생각하는데 ..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위장만 음식을 분해하는 거 아니에요)
간은 담즙이라는 액체를 하루에 대략 0.5~1리터 정도 만드는데요.
이 담즙은 잠시 담낭에 저장되어 있다가 음식물이 우리 몸안에 들어오면 ...
십이지장으로 잽싸게 빠져나와서 체내로 잘 흡수 되도록 소화 분해시킵니다.
하지만 간이 안좋아지면 담즙생성을 못하므로
🔸 음식물이 소화안됨
🔸 음식물이 장에 체류함
가스차고 소화안되는 증상이 생깁니다.
03. 눈과 피부가 노랗고 소변까지 노랗게 나옵니다.
이런 증상을 황달이라고 하는데요.
황달은 사실 간이 안좋을때 증상으로 유명합니다.
적혈구의 죽은 시체를 빌리루빈이라고 하는데요.
이게 간에서 처리되어서 우리 몸 밖으로 빠져나와야 하는데 간이 나쁘면 다시 몸안으로 역류해서
몸을 노랗게 만들어 버리고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나오기 때문에 소변이 노랗게 되기 정말 쉽습니다.
04. 해독이 안돼서 피부병이나 잦은 감기등이 잘 생깁니다.
간하면 생각나는게 또 있죠~ 바로 해독기능입니다.
음주후 숙취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은데 바로 간에서 해독을 못해서입니다.
간은 몸에 노폐물을 처리하고 나쁜 세균을 죽이는 일을 합니다.
이 역할이 안되면 피부병도 잘 생기고 몸에 염증도 많아서 근육통도 자주 생기고 감기도 잘 걸립니다.
05. 잇몸에서 피가 자주 보입니다.
간은 출혈이 있을 때 혈액이 더 이상 못빠져 나가게 혈액을 응고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역할을 하는 것이 혈액 응고 인자인데 바로 간에서 만들어 집니다.
이 인자가 부족하면 코피나 잇몸에서 출혈이 잘 생기기고 피부에 피멍이 잘 보이게 됩니다.
06. 우측 갈비뼈 밑이 뻐근하거나 가볍게 때리면 통증이 있습니다.
간은 우측 갈비뼈 아래쪽에 있습니다. 만약 간이 부어있거나 뭉쳐 있으면 통증부위 자극에 통증이 느껴집니다.
이외에도 간이 안좋을때 조심해야할 증상으로는 ~~
07. 성기능이 떨어지거나,
08. 짜증이나 분노가 자주 나고 감정 조절이 안됩니다.
09. 눈밑이 다크서클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10. 입냄새가 자주 납니다.
원문출처
메디업(국내의료정보포털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간에 좋은 음식은 무엇인가요? (간 건강백서, 대한간학회, 헬스경향)
'음식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로니아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방법 (0) | 2022.11.16 |
---|---|
당뇨에 좋은 음식과 나쁜음식 10가지 !! (0) | 2022.11.16 |
신장에 좋은 음식 8가지와 신장에 안좋은 음식 3가지를 알려드립니다 (0) | 2022.11.15 |
역류성 식도염에 좋은 음식 10개! (0) | 2022.11.14 |
김장을 하는 시즌인 겨울 김치의 효능과 영양성분을 알아보기 (2) | 2022.11.14 |